​"美달러 10∼15% 더 오른다…내년 세계경제 심각한 침체 가능성"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02-499-0062
팩스 : 02-465-6597
jhson@cheonwooglobal.com
09:00 ~ 10:00 (일요일, 공휴일 휴무)
고객센터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및 견적요청
문의글을 남겨주세요. 포워딩, 수출입, 검역 무역에 대한
견적이나 궁금하신 사항을
친절하게 답변드립니다.
문의글 남기기

공지사항

공지사항
> 고객센터 > 공지사항

​"美달러 10∼15% 더 오른다…내년 세계경제 심각한 침체 가능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천우글로벌 댓글 0건 조회 631회 작성일 22-10-24 10:00

본문

"美달러 10∼15% 더 오른다…내년 세계경제 심각한 침체 가능성"

세계경제연구원,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석좌교수 초청 웨비나
"달러 초강세 대응 중요…초저금리 시대 끝났다"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석좌교수는 미국 달러가 10∼15% 더 강세를 나타낼 것이라며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들은 경계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고프 교수는 20일 세계경제연구원이 '글로벌 거시경제 위험과 정책적 시사점 : 이번에는 정말 다른가?'를 주제로 개최한 웨비나에서 이같이 말했다.

로고프 교수는 "미국 달러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 금리 인상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초강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정점을 보기까지는 아직 10∼15% 정도 더 강세로 갈 여지가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미 연준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리는 가운데 미국은 에너지 자급·원자재 수출국이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경제적 충격이 상대적으로 덜 하고, 위기 시에는 선진 강대국보다는 소규모 신흥국들이 더욱 취약하다는 점 등이 '킹달러'(달러 초강세) 현상을 낳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현재까지는 신흥국에 미치는 달러 강세의 영향이 제한적이지만, 달러 강세가 추가로 진행될 경우 신흥국·취약국들은 심각한 경제적 역경에 직면할 수 있다"며 한국도 단기적으로는 연준의 금리 인상과 달러 초강세에 잘 대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정책적 과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고프 교수는 세계 경제 전망에 대해 "최근 IMF의 수정경제 전망보다는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며 "유럽뿐 아니라 미국이 2023년 심각한 침체에 빠질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연준을 비롯한 주요 중앙은행들이 인플레 대응을 위한 금리 인상에 실기했다면, 이제는 반대로 금리를 너무 급하게 공격적으로 올려서 경제 침체를 가져오는 '역방향의 정책적 실패'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로고프 교수는 경기침체 우려 속 글로벌 금융시장 충격, 특히 최근 영국발 금융시장 패닉에 대해서는 "이제 시장이 정부의 방만한 적자 재정·정책 실패 등에 대해 덜 관용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새로운 시대가 시작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 이상 지속된 초저금리 시대도 사실상 막을 내렸다며 "장기 실질금리는 미국발 금융위기 이전인 2003∼2006년 수준과 유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앙은행들이 향후 2∼3년 이내에 인플레를 목표 수준으로 끌어내리는 데 성공한다 해도 금리 수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봤던 초저금리 수준까지 낮아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로고프 교수는 중국 경제와 관련해서는 부동산 부문 부실과 과도한 정부부채 등 구조적 문제들을 언급하며 IMF가 제시한 내년 성장률 4.4%도 달성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일본의 경우 코로나19 관련 규제 완화가 본격화됨에 따라 경기 반등·물가 상승이 나타날 것이라며 이는 정책금리 인상·엔화의 반등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합뉴스 제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천우글로벌
상호 : (주)천우글로벌 대표 : 이홍래 사업자번호 : 206-86-66055
주소 : 서울시 성동구 상원1길 26 서울숲 A타워 704호 전화 : 02-499-0062 팩스 : 02-465-6597 이메일 : jhson@cheonwooglobal.com
Copyright © 2012 (주)천우글로벌 All rights reserved.